본문 바로가기
소싱 정보

정보) 원가 줄이는법 (심화과정1. 요척 절감)

by 현소엠 2025. 2.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현직 13년차 소싱MD인 현.소.엠 입니다.

2020년 원가 절감에 대하여 블로그에서 이런글을 썻는데,

https://cloths-product.tistory.com/16

 

원가 줄이는법 (원가 절감)

소싱MD의 주역할인 원가 절감에 대해 현업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몇가지를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의류에서 차지하는 제조비용(원가)은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 1.원단 2.부자재 3.공임 4.기타(

cloths-product.tistory.com

 

오늘은 좀 더 디테일한 심화내용으로

원가 줄이는 방법 중,  원단의 요척 절감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 목 차 - 

1. 원단 - 요척

 

2. 어디 부분을 줄이면 되는데?

① 패턴의 LOSS율

② 패턴의 시접 분량 길이

③ 패턴 길이

 

 

1. 원단 - 요척

의류의 원가 견적서 중 제조비용(원가)은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 

1.원단  2.부자재  3.공임  4.기타(마진 및 관세, 통관비 등)

 

그 중 원단금액이 전체 의류 1PCS당 금액 중 약 30~40%차지 할텐데, 

* 요척 X  원단가 = 원단금액   이런식으로 산출이 됩니다.

 

이때, 요척을 낮추게 되면 원단 금액도 당연히 줄어드니 의류회사에서는 어떻게든 요척을 낮추고자

패턴사도 활용하고 개발실을 활용해서 요척을 꼼꼼히 체크 하기 마련입니다.

그림. 패턴 요척

 


 

2. 어디 부분을 줄이면 되는데?

 

그럼 요척을 줄여야 원가를 SAVE할수 있다는 점은 이해 하셨을테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줄여야 하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딱 3가지를 확인 하시면 됩니다.

 

  ① 패턴의 LOSS율

재단시 발생하는 LOSS 및 원단 수축으로 인하여 발생 하는 요소를 고려하여 패턴을 키우게 되는데

생산하는 수량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보통 패턴 LOSS율은 브랜드에서 기본 3% 책정 해서 패턴을 키우게 됩니다.

LOSS율을 고정하지 않으면, 5~10% 추가 LOSS 확보시 요척이 상승하게 되어 원가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패턴 LOSS는 딱 견적서상에 보여지지 않는 숨어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초보 MD들이 간과하기 쉬운 내용입니다.

 

 

  ② 패턴의 시접 분량 길이

패턴 LOSS와 비슷한 내용입니다. 패턴의 시접분량 길이를 체크 해야 합니다.

오바로크 봉제 시 시접을 깍아 먹는 요소를 고려하여,  전체 방향 시접 길이를 키워 패턴을 뽑게 되는데

이때도 LOSS율과 마찬가지로 시접길이를 딱!! 지정을 해줘야 

무한으로 늘어날수 있는 시접길이를 제한하여 요척을 절감 시킬 수 있습니다.

시접이 길면 길수록 패턴이 커지게 되서 요척 또한 커지고, 원가도 늘어나겠지요?

 

  ③ 패턴 길이

요척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건 폭(WIDTH) ?  아니죠!

바로 길이 (LENGTH)입니다.  폭은 패턴에 맞춰 테트리스를 잘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하지만 길이는!!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요척이 상승하게 됩니다.

 

우리가 단순히 참여하고 확인하는 QC 및 샘플 스펙 확인시,  총기장 / 소매길이 등등

1CM가 길어질수록 0.01 요척이 상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시1. 원단값이 2만원일때,  1CM 줄여서 20,000 X 0.01 = 200원/YD 아낄수 있습니다

예시2. 요척이 3 이상일때는 아낀 200원 X 3 = 600원을 총 아낄수 있을 정도!!

 

그래서, 매장이나 소비자 반응을 꼭 확인 하시어 길이 SPEC 관련에서는

최대한 길어지지 않게 최적의 협의점을 찾아 작업하셔야 요척증가를 막을수 있습니다.

* 길이 증가 = 요척 상승 = 원가 상승

 

이상 원가 절감 심화과정 알려드린

현소엠이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