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소엠 칼럼

지드래곤처럼 멋지게! 스카프 [제작 공정]과 최적의 [혼용율] 선택하기

by 현소엠 2025. 3. 1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여의도에 있는 더현대 벡화점에 잠시 다녀왔는데, 최근 지디 앨범 관련 굿즈 행사를 하고 있더라구요.

 

행사 대기 줄이 어마어마한걸보니, 7년만에 나온 지디 인기가 아직 죽지 않고더 바이럴이 되면서 역시 지디는 연예인들의 연예인이구나라는걸 느꼈는데요

 

그중에 최근 G-DRAGON이 자주 착용해 나와 화제가 되고 있는 패션!!'스카프'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선 목차 - 

1. 스카프 제작 공정

2. 스카프 혼용별 특징

3. 뭘 골라야 하는가?

 


1. 스카프 제작 공정


1. 디자인 단계

디자인 개발: 및 샘플 제작 : 초기 디자인을 바탕으로 샘플을 제작하여 색상과 패턴의 조화를 확인합니다.


2. 원단 선택

원단 선택: 스카프의 최종 디자인에 맞는 원단을 선택합니다. 면, 울, 실크, 폴리에스터 등 다양한 재질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직조(제직) 및 재단 과정

직조기 설정: 선택한 원단에 따라 직조기를 설정합니다. 수자직(수직 직조)은 보통 면이나 실크 스카프에 사용되며, 평직은 내구성이 필요한 스카프에 적합합니다.

패턴 재단: 완성된 원단을 스카프의 크기와 형태에 맞게 재단합니다. (일반 재단 방식 동일) 

4. 봉제

봉제 작업 : 스카프의 가장자리를 처리하는 방식(저렴한 방식 - 기계 오버록 / 고급방식 - 핸드 스티치)

 


2. 스카프의 혼용율에 따른 재질별 특징

얼굴에 쓰고 다니거나, 피부에 가까이 있는 스카프인만큼 혼용별에 따라서도 피부자극 및 땀 흡수도가 다릅니다.


 1) 면 (Cotton)   - SOSO..

흡수율: 면은 수분 흡수력이 뛰어나 여름철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습한 환경에서는 쉽게 무거워질 수 있습니다.
피부 자극: 면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부드럽고 자극이 적지만, 면의 품질(OE사, CD사) 낮은 원단은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울 혼합 (Wool)   - GOOD!!

정전기: 울은 정전기를 잘 유발하지 않지만, 합성 섬유와 혼합될 경우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이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흡수율: 울은 수분 흡수력이 좋지만, 과도한 땀을 흡수하면 무겁고 불편할 수 있습니다.


 3) 실크 (Silk)  - GREAT!!

피부 자극: 실크는 피부에 부드럽고 자극이 적지만, 혼합 비율이 낮을 경우 다른 섬유의 특성으로 인해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전기: 실크는 정전기를 잘 방지하는 특성이 있지만, 합성 섬유와 혼합되면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폴리에스터 혼합 (Polyester Blend) - BAD!!

정전기: 폴리에스터는 정전기를 잘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처리(대전방지 가공)가 필요합니다.
흡수율: 폴리에스터는 수분 흡수력이 낮아 땀을 흡수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불쾌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5) 혼합 섬유 (Mixed Fibers)   - SOSO..

정전기: 혼합 섬유의 조합에 따라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다릅니다. 특히 합성 섬유(폴리, 나일론, 아크릴)가 포함될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흡수율: 혼합 비율에 따라 흡수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면과 폴리에스터 혼합은 면의 흡수성과 폴리에스터의 내구성을 결합하지만, 흡수율은 면 단독보다는 낮습니다.


3. 뭘 골라야 하는가?

간단히 정리 해드리자면, 악세서리용으로 고급 소재를 쓰고 싶을때는 

1위. 100% Silk

2위. Silk + 레이온 혼방

3위. 울 이나 면 100%

 

그리고 드레이프성이나 광택면에서는 평직이 아닌 수자직(새틴)으로 만들어진게 더욱 부드럽습니다.

구찌 - 실크 100% 스카프

이상 현소엠이 알려드린 최신 트렌드 '지디 스카프'에 대해서

어떻게 뭘 골라야 하는지 간단히 알려드렸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