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패션브랜드 창업 한다면 절대 모르면 안되는 3가지
안녕하세요 현직 12년차 패션 의류 생산&소싱 MD 인 현소엠 입니다.
최근 1:1 로 패션 온라인 브랜드를 운영 중인 대표님들과 강의를 진행하고 있는데,
(캐쥬얼 & 스포츠 & 여성의류 &펫 등등)
점점 매출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생산 관련해서 대부분 모르 시는 내용이 있어서 몇가지 의류 생산 팁을 드리고자 합니다.

패션브랜드 창업 한다면 절대 모르면 안되는 3가지
- 재고 관리
- 물류 (3PL)
- 원가계산
첫번째1. 재고 관리

의류제품 생산 후 판매에 있어, 결국 재고와 싸움입니다.
재고를 얼만큼 안남기고 완판 하느냐에 따라 수익 구조가 달라지게 됩니다.
대부분의 온라인 제작 브랜드는 재고를 남김없이 팔아야 하지만,
현실은 그럴수가 없기에 별도의 재고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본인 제품이 몇장 가지고 있고 몇개 팔렸으며, 몇개 부족한지 알아야 수월하게 관리가 가능합니다.
(엑셀 시트 & 구글 스프레드 시트 & ERP 활용)
두번째2. 물류 3PL

규모가 커짐에 따라, 하루 보내는 택배 양과 제품을 보관해야하는 공간의 부족으로 물류창고를 찾게 되는데,
"3PL" 형태라고 불리는 물류는 본사에서 주문이 들어오면
제품을 보관 & 출고 &입고 까지 맡아서 하는 원스톱 시스템입니다.
대형 브랜드는 보통 자사 물류창고를 두고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 규모의 온라인 브랜드는 아웃소싱 or 위탁개념으로 물류창고를 임대 및 대여 하여
월사용료 납부 및 제품 갯수별 보관비,택배비를 별도 청구 하여 사용 하게 됩니다.
세번째 3. 사후 원가 계산

초반 의류 브랜드 창업시에는 높은 마진을 확보 하지 못하게 될텐데요.
시장 진입 초반에는 경쟁자들과 싸워야되고, 내가 만든 좋은 제품을 좋은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선보이고 싶어
원가율을 후순위로 두게 됩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규모가 되면 직원 월급도 줘야되고
결국 회사가 이익이 남아야 유지 될수 있기 때문에 사후 원가 계산을 해야 합니다.
사전원가라는건, 당장 제품이 얼마에 만들수 있냐라고 한다면
사후원가는, 제품이 만들어서 물류를 거쳐 소비자한테 팔릴때까지 총 발생한 비용 입니다.
(사후원가 = 실제 생산 비용 + 실제 운송비용 + 실제 부가비용의 합)
이상으로 브랜드 창업시 고려야할 요소 3가지에 대해 간단히 알려드려봤습니다.
더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아래 댓글 달아주시거나 카카오톡 채팅방 참여해서 문의 하시면
알려드리겠습니다!!
현소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