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원가 줄이는법 (심화과정2. 검사비 절감)
안녕하세요 현직 13년차 소싱MD인 현.소.엠 입니다.
최근 급등한 환율로
브랜드 & 모든업체에서 전부 원가절감, 비용절감, 인력절감
노래를 부르고 다니는데
마른 수건을 쥐어짠다는 느낌으로
오늘은 새로운 원가 절감 항목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 목 차 -
1. 검사비란?
2. 어디 부분을 줄이면 되는데?
① 검사 항목 - 일반원단 / 가죽 / 유아동
② 검사 업체 비딩
3. 얼마가 줄어드는데?
1. 검사비란?
검사비라고 불리는건 크게 2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1) 원단 유해성 및 견뢰도 시험검사 - 견뢰도 및 KC
2) 메인원단 외관 검사 - DEFECT 및 이염
그 중 금액적인 부분과 약간은 절감이 필요한 항목은 [원단 유해성 및 견뢰도 시험검사] 입니다.
유해성 검사는 필수 항목이기에 제외하고
대부분 브랜드에서 진행하는 견뢰도 및 기타 검사에 대해
제가 개인적으로 판단하기에는 약간은 너무 많은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어짜피 떨어져도 원단업체에서는 수지처리 및 견뢰도 올리는 보완해서 넣을꺼라)
한 예로, 드라이용 제품에 수축율 확인 문제로 치수 변화율을 많이들 넣으시는데
드라이는 가장 형태가 안정적인 세탁 방법으로, 99% 이상은 치수변화율이 합격이 나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검사시험을 넣는게 모든 담당자의 생각입니다.
괜히 뭐가 나와서 회사에 피해가 가면 본인이 손해기 때문에.....
그런데 그런 생각이 시즌이 더해 갈수록, 합쳐져서 필요이상의 엄청나게 많은 검사항목이 검사되고 있습니다.
원가절감이 극단적으로 필요할때 이런 검사항목 몇가지를 제외해서 운영하시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2. 어디 부분을 줄이면 되는데?
일부 불필요한 검사항목에 대해 제외하는 점은 이해 하셨을테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줄여야 하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1) 검사항목 - 일반원단 / 가죽 / 유아동
① 일반 원단일 경우 (성인 제품)
- 염색 견뢰도(세탁, 마찰, 땀, 일광, 복합) 중 몇가지 항목은 제외 - 마찰은 물티슈로 긁으면 판별, 복합은 전혀 필요X
- 치수 변화율 (물, 드라이, 아이론) 중 물세탁 제품에만 적용
- 물성 테스트 중 (필링,인장,인열 필수) 실 미끄럼 저항 제외
- KC 필수 3가지 검사는 무조건 진행 (PH, 아릴아민, 폼알데하이드)
- 모든 컬러 검사는 비용만 증가 될뿐!! / 일반 검사항목은 짙은색 위주로 1~2가지 넣어도 무방
② 가죽 제품
- 염색 견뢰도는 가죽 특성상 좋게 나올리가 없음
- 치수 변화율은 제외해도 무방 / 가죽은 입다보면 늘어남
- KC 가죽전용 검사는 무조건 진행
③ 유아동 제품
- 아동 제품은 소비자보호원 검사가 강하기 때문에 왠만하면 다 넣는걸 추천
2) 검사업체 비딩
검사업체는 대표적으로 KOTITI, KATRI, FITI, 인터텍 등등 여러 검사업체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검사업체마다 브랜드별 책정하는 금액이 다르고, 당연히 네고도 가능합니다!!
네고하는 주요 포인트는 3가지
1. 브랜드의 규모
2. 브랜드 시즌별 검사 횟수
3. 제3자 완제품검사까지 하는지
이 3가지에 따라 브랜드별 검사항목 비용이 다르니,
꼭 각 개별 업체에 회사의 정보를 주고 네고를 통해 합리적인 단가로 검사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3. 얼마가 줄어드는데?
이렇게 검사항목도 빼고, 검사업체 비딩을 통해 얼마 정도가 네고 될지 잘 모르시는 분들을 통해
대략적인 시즌별 줄어드는 금액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검사 항목 제외 적용 시 - 일반 원단 기준 4만원 절감 (1컬러당)
- 마찰과 복합견뢰도 제외 : 약 20,000원
- 드라이 치수 변화율 제외 : 약 10,000원
- 실 미끄럼 저항도 제외 : 약 10,000원
2) 검사업체 비딩시
- 인터텍의 경우 3대 검사업체 대비 10%저렴 : 약 12,000원
3) 최종 절감 금액
- 1컬러당 52,000원
- 3컬러 검사시, 약 150,000원
- 시즌 원단 50개 사용시, 750만원
- 연간 2개 시즌(SS,FW), 1500만원 절감
※ 대략적인 절감 예상 비용 산출 일뿐, 참고만 하기시 바랍니다.
이상 검사비 절감 방법 알려 드린 현소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