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일론5 원사의 중요구성 3가지 번수 & 데니어 & 필라멘트 요약 설명 안녕하세요 11년 차 패션의류 생산 & 소싱 엠디인 "현소엠"입니다. 원사(실) 내용에 대해서 딱 초보자가 중요하게 알아야할 가장 기본 내용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의류업에서 일하게되시면 꼭 알아야 하는 원사를 보는 방법 선 목차 ▶ "번수" 보는 방법 ▶ "데니어" 보는 방법 ▶ "필라멘트" 보는 방법 1. 번수 1) 기본 번수 면에서의 원사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입니다. (단위 "S") 숫자가 높을수록 원사가 얇아지고, 얇은 원사로 만든 원단은 중량이 낮습니다. 원사 두꺼운 순서 (10수 > 20수 > 30수 > 40수......) 2) 특수 번수 기본적으로는 1합이지만, 2개의 원사가 합쳐져 두께가 2배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CM 20'S/1 - 1합의 원사 / 두께는 20수 CM 20'S.. 2022. 11. 16. 폴리(POLY) & 나일론(NYLON)원사 이것 모르면 바보 된다 DTY? ATY? 현소엠입니다. 지난 번 면 원사에 이어 우리 생활에 자주쓰이는 대표적인 2가지 원사인 폴리, 나일론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단 정보에는 항상 들어가는 정보이므로, 기본으로 숙지 하셔야 합니다. 이것만 알면 최소 50%이상은 먹고 들어가는 화학섬유(화섬) 원사 분류법 바로 시작 하겠습니다. 우선 폴리와 나일론은 모두 화학섬유라고 불립니다. 어릴떄 배운 기억으로는 석유에서 추출된 원사라고 불리기도 하지요. 특성은 다른 원사이나, 같은 확학섬유로 일컬어지기에 금번 내용에서는 별도 분류하지 않고 설명 드리겠습니다. 폴리, 나일론 원사 분류 - 1편 ① 가공에 따른 분류 일반 가래떡같이 나온 화학섬유를 어떻게 꼬았는지 어떻게 가공했는지에 따라 DTY,ATY, ITY등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현업.. 2021. 5. 30. 가성비 좋은 원단 구분법 (의류)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이번은 소비자들이 의류들을 쇼핑 할때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는 알면 좋은 의류 가성비 판별법입니다. 똑같은 디자인의 옷이더라도 어떤 원단을 쓰고, 어떤 부자재를 썻는지 가격의 가성비는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옷의 형태나 디자인은 같지만, 원단을 더 비싼거 쓰고, 프린트 기법을 더 고급적인걸 쓰면 그 옷의 값어치는 훨씬 더 가성비가 좋아집니다. 이렇게 의류 쇼핑 할 때 가성비를 끌어올리기 위해 알아두면 좋은 상식에 대해 시리즈 물로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알면 좋은 의류 가성비 판별법 - 원단 편 1) 나일론은 폴리 보다 비싸다 - 나일론은 기본적으로 폴리에스테르보다 원사값이 비싸고 고급감을 주는 소재 입니다. (터치감이 우수) - 의류를 구매 시 케어라벨 등에 적혀 있는 혼용율을.. 2020. 3. 21. 의류 지퍼의 기초 안녕하세요 현.소.엠 입니다. 의류에서는 항상 들어가는 중요 부자재 중 하나인 지퍼(Zipper)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 목차 요약 ▶ 지퍼의 구조 (지퍼 이빨 + TAPE + 슬라이더) ▶ 지퍼의 종류 (OPEN, CLOSE) ▶ 슬라이더의 종류 의류 제품에는 없어서는 안 될 지퍼!! 우선 지퍼가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해 알아볼까요 1. 지퍼의 구조 (지퍼 이빨 + TAPE + 슬라이더) 1) 지퍼의 이빨 - 상하 요철의 좌우가 맞물려 개폐 역할을 합니다. - 이빨의 모양, 성분에 따라 메탈, 메탈룩스, 비슬론, 나일론(코일)등의 지퍼로 구분됩니다. - 이빨의 크기에 따라 3호, 4호, 5호 등 치수를 말하기도 합니다 (예시 #5 NYLON 지퍼, #3 VISLON 지퍼) 2) 지퍼의 .. 2020. 2. 22. 의류 황변의 원인 및 대책 안녕하세요 현. 소. 엠입니다. 오늘은 의류 사고 중 빈번하게 일어나는 황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황변이란? - 섬유 제품이 약품의 작용이나 일광의 노출 등에 의해 황색 끼를 띄는 것을 말합니다. - 유형으로는 크게 ①광에 의한 황변, ② 포장재에 의한 황변으로 대부분이 산화질소(NO2)의 결합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 황변의 종류와 원인 1. 섬유의 황변 - 섬유 자체가 변색됨을 말합니다. - 황변이 잘되는 순서 : 양모 > 폴리우레탄 > 나일론 > 면 > 견 > 그 외(폴리에스터 등) - 실제 의류 제조 후에 발생되는 황변의 원인으로는 빛과 대기 중의 NO2(산화질소) 가스에 의해 대부분 발생합니다. 1) 나일론 섬유의 황변 - 일반 상태 대비 습윤 상태에서 더 심하게 황변 현상 발생.. 2020. 2.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