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원단사고2

의류 불량사고 사례 - 옷에 각이 안 살아요 (비건레더 및 심지작업) 13년 차 현직 소싱 엠디 "현소엠"입니다. 캐쥬얼과 아웃도어와는 다르게 남성복에서는 심지 작업을 많이 합니다.아직까지는 경량화보다는, 각이 살아있는 그런 간지를 원하는듯 하지요 그래서 대부분 점퍼에서도 몸판에 심지를 추가 부착하여 각을 살립니다. 경험으로, 최근 유행하는 비건레더 자켓이나 가죽자켓류 경우원단이 흐물거리는 경우가 많아  특히나 심지 작업을 해야 하지요!그래서 옷이 흐물거릴때 대처해야하는 방안에 대해 이야기 해드릴까 합니다. 의류 불량사고 사례 (옷&원단이 흐물거릴때)1. 원단상태 대처방법2. 재단상태 대처방법3. 제품상태 대처방법  1. 원단 상태라면?샘플을 만들고 뭔가 옷에 각이 안서고 할때는 가장 먼저 해야하는 방법은 원단상태로 있다면, 전체 원단 심지 부착 작업을 해야 합니다.  (.. 2025. 2. 7.
의류생산 사고 대응 메뉴얼 (쇼트) 안녕하세요 현소엠 입니다. 쇼트란? 생산자과 바이어 사이 합의된 발주 수량 보다 생산 수량이 적은 경우를 쇼트(Short or Shortage) 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면 바이어가 100장 발주 했는데, 50장만 납품 한다면 나머지 50장은 쇼트난 수량입니다.) 쇼트 유형으로는 크게 원단쇼트 & 제품 쇼트 2가지가 있습니다. 1. 원단 쇼트 말그대로 원단 발주량 보다 공급되어진 수량이 부족하여 발생한 쇼트로, 원단 부족은 생산 공장 자체 에서 발생하는 내부적 요인와 외부적 요인으로 나눌수 있는데, 1) 원단 쇼트 내부 요인 - 원단 생산 시 발생하는 Loss 과다 (편직,염색,가공) - 원단 공장 내 외관 검사 후 발생하는 불량 (요꼬단 및 이염 등) - 최종 원단과 패킹리스트 사이 오차 (최종 수량은.. 2020. 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