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소엠 칼럼

현소엠 칼럼) 패션 브랜드 의류 회사, 팀장이 해야 할 일 3가지 (TIP)

by 현소엠 2024. 7.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12년차 생산MD "현소엠" 입니다.

 

한달 동안 블로그 글이 좀 뜸했는데요 
저도 좋은 기회가 생겨
"이직"이란걸 하게 되면서 신규 회사에 적응 하느라 뜸해졌습니다.
 

신규 회사에서 많이 배우고 좋은 내용은 많이 업로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경험 100%로 쓰이는 [현소엠 칼럼] 시간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새로운 팀장이 해야할 일 3가지"에 대해 간단 정리 드립니다.
 




패션회사에서 경력과 연차가 쌓이게 되면

사원 -> 대리 -> 과장 -> 팀장, 실장

보통은 이런 순서로 점점 직위가 오르면서 팀장,실장 업무를 맡아 진행하게 됩니다.



요새는 신규 온라인 브랜드가 많아 지면서 훨씬 더 일찍 팀장 역할을 일찍 수행 하기도 합니다.



기존에는 담당자로써 내 할 일만 하다가 막상 팀장이 되서 업무를 하려고 하면,



"어떻게, 무슨 팀장 업무를 하지? "

라고 생각하면서 뭐부터 해야할지 모를텐데요



이때, 딱 해야 할일 3가지만 알고 업무를 진행 하시면 훨씬 빠르게 적응하실수 있을겁니다.

(저도 이 기준으로 적용하고 업무하니 그래도 빠르게 틀이 잡히더라구요)


팀장 되자마자 해야할일 3가지

1. 새로운 목표,기준을 정립

2. 현황 정리

3. 기존 업무에서 개선점 찾기

 



# STEP 1. 새로운 목표와 기준을 정립하는겁니다.

새로운 팀장이 되면서, 기존이 아닌 내가 만들고 싶은 팀의 목표와 기준을 정하고 ​팀원들과 공유 해야 합니다.

같은 생각과 같은 곳을 바라보고 업무를 해야 빠른 성과가 나오겠지요.

새로운 목표와 기준? 말은 되게 거창하게 시작했지만,

간단하게라도 팀원들에게, 우리팀은 어떤 목표를 가질 것인지 알려주고 시작하는겁니다.



# STEP 2. 현황 정리

신규회사든 기존 어떤 회사든지​ 진행되고 있는 업무는 있을텐데,

팀장으로써 돌아가고 있는 현황(인력 & 업무)을 빠르게 파악 하는것이 중요 합니다.

한달이 넘도록 현황도 파악 안되는 팀장은 팀원들부터 바로 신뢰를 잃습니다.

예를 들어, 의류브랜드의 생산이라면 빠르게 시즌 샘플, 메인 생산현황에 대해 현황표를 작성하여 

어떤 스타일과 몇장을 어디에서, 언제까지 제품을 생산해야 하는지 파악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세부적인거는 다음 STEP입니다.  기본 중심인 뼈대(현황)를 이루고 근육과 피부로 살을 덧붙이시면 됩니다.



# STEP 3.  기존 개선점 찾기

현황을 통해 현재상황 파악이 끝났다면, 개선점을 찾아내 더 나아지는 업무를 할 차례입니다.

기존 진행되던 방식을 뜯어보고, 자세히 분석하면서

기존과 다른 or 개선점을 찾아내 더 나아지는 방식으로 조금씩 바꾸시면 됩니다.

 




"새 술은 새로운 잔에 담으라" 라는 속담이 있듯이,

내 팀만의 ①목표와 기준 /  ②현황 /  ③개선점을 적용해 가시면 

좀 더 빨리 적응을 하실수 있을 겁니다!!



PS. 아직 팀장급이 아닌 사원 & 대리 & 과장이시라면,,,,

3가지 TIP을 활용하여 신규 팀장&실장의 적응을 도와주시면 어떨까요?   절대 나쁜일은 없을겁니다!!





이상 경험 100%에서 나온 현소엠의 TIP이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