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소엠 칼럼

현소엠 칼럼) 13년차 현업자가 느끼는, 벤더와 생산MD 직무 차이 4가지

by 현소엠 2025. 3. 2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두서없이 써보는 현소엠의 칼럼 시간입니다.

 

의생교를 진행하다보면

벤더에서 직무경력을 쌓으시다가, 브랜드 생산MD로 넘어오셔서

국내 내수 브랜드의 생산 프로세스를 배우려고 오시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아무래도 벤더 직무와 생산MD의 직무는 비슷하면서 다르긴 합니다.

같은 의류 생산 업무에 연속이지만, 실제 하는 업무와 관연도는 전혀 다를수 있지요.

 

그래서 비슷한점, 차이점 몇개를 공감 형태로 써보려고 합니다.

 


 

벤더 직무와 브랜드 생산MD의 차이점

 

1) 업무의 범위

 

벤더에서는 담당하고 있는 몇가지 이내의 아이템(스타일)에 대해서만 깊게 파면 됩니다.

 

예를 들어, 유니클로 티셔츠 생산을 하게 된다면, 원사를 어떤거 쓰고, 비율은 몇으로 맞춰서 발주할 것인가

게이지와 루프장을 어떻게 조작해 편직을 할것이며, 염색(염료 공법이나 시간 등등)과 가공은 어떤걸로 진행되며 봉제시에는 어떤 디테일과 주의 사항과 패킹방법 등등

 

담당한 아이템에 대해 사고를 안나게 하기 위해 1부터 10까지 깊게 깊게 전체의 숙련도를 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브랜드 생산MD들은 적게는 수십가지 많게는 수십개의 담당 스타일이 있기 때문에

모든 스타일에 대해 깊게 알지 못하고, 넓게넓게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한개씩 파고 들고 보기보다는 비교, 비딩을 하면서 지식을 깨우쳐 갑니다.

 

벤더에서 브랜드 오시는 분들이 이런거에 익숙하지 못하게 일반적입니다.

담당 업무에 대해 깊게 파고 들어가다보니, 추가적으로 밀려오는 업무가 지연되고 밀리고 밀려서 야근까지 하게 되는 경우이지요.

 

 

2) 업무의 직접 관여도

1번 내용과 비슷하지만, 다른점은 업무의 관여도 입니다.

 

벤더는 내가 맡은 아이템에 대해 1부터 10까지 전체 다 핸들링 해야 하지만,

브랜드MD는 완사입의 경우 마진을 주면서 프로모션이라는 대행업체를 활용해서 업무를 진행하기에

전체 다 핸들링 할 필요 없이, 업무가 잘 진행되고 있는지 체크만 해주면 됩니다.

 

그래서 벤더에서는 의류 생산에 대한 업무에 대한 관여도가 높지만, 생산MD는 직접적인 의류 생산 업무의 관여도 보다는 타부서간의 소통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합니다.

 

저도 벤더에서 브랜드생산MD로 처음 왔을때, 사수한테 자주 들었던 말로는

'니가 다 할려고 하지 말아라' '업체분들에게 부탁하고 시켜라' 라는 내용을 자주 들었습니다.

 

 

3) 출장의 빈도

벤더의 경우는 초두 샘플 나올때 맞춰 담당자가 원단 or 봉제 공장에 출장을 가게 됩니다.

 

직접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의류의 퀄리티 및 생산진행현황에 대해 눈으로 봐야하기 떄문이지요.

하지만 브랜드 생산MD 경우에는 시즌에 아예 출장을 안갈수도 있습니다. 직접 공장 가봐야 아는게 많지도 않고(보통 경험적으로 보내는 경우가 많음) 회사 내 다른 업무가 밀려 시간을 할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라인 생산 시작 할때쯤에는 다음 시즌 준비하는 경우가 많음

 

그래서 벤더에서는 1개 시즌당 해외공장 출장이 2~3번 방문 하는게 일반적이라면,

브랜드 생산MD는 시즌에 1번 갈까 말까 정도로 빈도가 적습니다.

 

 

 

4) 미팅 담당자

벤더에서는 보통 1개 루트로 브랜드 담당자하고만 미팅을 하면서 업무를 진행하면 되지만

브랜드 생산MD들은 여러 부서 사람들과 미팅을 하게 됩니다. 디자이너부터 기획MD, 영업, 마케팅 등등

 

그러다 보니 불필요한 마찰 및 소통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브랜드 생산MD가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벤더인 생산업체에게는 최대한 정리된 내용으로 전달 및 통지를 하지만,

(그래야 생산 사고 발생이 적으니, 최대한 소통의 루트는 정확하고 단일로 운영)

 

생산MD는 업체에게 정리된 내용이 만들어지기까지 엄청나게 많은 부서들과 미팅을 해가면서 내용을 정리하고 만들어 냅니다. 마치 호수 위에 떠있는 백조가 우아해 보이지만, 수면 아래에서는 엄청 발버둥 치며 노력하는 모습

 

그래서 벤더는 만나는 미팅담당자가 적지만, 브랜드 생산MD는 사람때문에 기 빨립니다.

 

 

 

이상, 생각나는대로 벤더와 브랜드 생산MD의 직무 차이 4가지에 대해 써보았습니다.

 

현소엠 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