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보) 파인애플이 가죽이 된다고? 식물성 인조가죽의 비밀 공정 공개

by 현소엠 2025. 4. 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양이나 소 등의 동물성 가죽을 대체하는 친환경 소재로서,

 

소비자들의 지속 가능성과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많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이 소재를 적극 활용하고 있죠.

 

하지만 이 ‘식물성 가죽’은 정말 식물만으로 만들어질까요?

어떤 원료를 사용하고, 어떻게 제조되는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오늘은 바로 이 식물성 인조가죽의 정확한 제조 방식과 공정을

전문가의 시선으로, 그러나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드리겠습니다.

 

 

- 선 목차 -

1. 식물성 인조가죽(Vegan Leather)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 제조 공정 (How Vegan Leather Is Made)

3. 식물성 인조가죽 vs 기존 인조가죽/천연가죽 비교

4. 최종 정리

 

 


1. 식물성 인조가죽(Vegan Leather)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식물성 인조가죽은 크게  5가지 형태로 공정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 원료 추출 ->  가공 -> 합성수지 보강 -> 표면 처리 -> 가죽형태 재단

과정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핵심은 식물 기반 원료를 어떻게 가죽처럼 보이게 하느냐입니다.

 

  1) 식물성 가죽의 주요 원료

  • 파인애플 섬유 - 파인애플 잎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섬유
  • 사과 폐기물 - 주스 가공 후 남은 사과 껍질과 과육
  • 선인장 - 멕시코산 선인장 잎에서 추출한 섬유와 수지
  • 포도 - 와인 산업에서 나온 포도껍질과 씨앗 부산물
  • 고구마 - 고구마 껍질 부산물
  • 귤껍질 - 귤 껍질 섬유
  • 기타 - 옥수수, 콩 등 전분 기반 바이오폴리머

 

2. 제조 공정 (How Vegan Leather Is Made)

공정은 원료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따릅니다

<참고링크 : 망고로 비건 가죽 제작 https://www.youtube.com/watch?v=gAu0XGHpqco>

 

 

STEP 1. 식물 원료 수집 및 분쇄

원료(파인애플 잎, 사과 껍질 등)를 수확 후 세척하고, 섬유 또는 과즙 형태로 분해합니다.

과즙은 착즙하여 쥬스를 만들고, 나머지 껍질이나 건더기를 분류 합니다.

 

STEP 2. 섬유 추출 및 건조

껍질이나 건더기에서 나온 셀룰로오스를 추출한 뒤, 건조와 정제 과정을 거칩니다.

 

STEP 3. 바인더 및 수지 혼합

바이오 기반 폴리우레탄(Bio-PU) 또는 소량의 합성 수지를 혼합해 유연성과 내구성을 강화합니다.

<참고. 완전한 100% 식물성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은 일부 합성수지 성분과의 결합을 필요로 합니다.>

 

 

STEP 4. 코팅 및 압출

혼합물을 롤로 압착하여 얇은 필름으로 만들고, 가죽의 표면 질감을 모사하는 프레스 패턴을 입힙니다.

 

STEP 5. 열처리 및 완성

내구성, 방수성,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한 열처리 및 마감 코팅 후

최종 원단 형태로 출고됩니다.

 


 

3. 식물성 인조가죽 vs 기존 인조가죽/천연가죽 비교

아직까지는 인조 가죽(YD당 4~6천원)에 비해 가격은 높지만,

기업과 소비자들의 ESG 환경 지속가능성으로 인하여 앞으로에 대한 상업성은 점차 높아져 대체 될 듯 합니다.

 


 

4. 핵심 정리

  • 식물성 인조가죽은 식물 폐기물 + 바이오 수지를 혼합해 만든 소재입니다. (100% 식물성은 아니라는 점)
  • 버려지는 식물껍질만 있다면 뭐든 조합해서 사용 가능!!
  • 대부분의 유명 명품 의류에서도 친환경 비건 가죽을 쓰고 있다는 점!!
  • 트렌드는 위에서 내려오니, 결국 시험적인 브랜드들에서 먼저 사용되고 대중적 브랜드로 이어질듯합니다.

 

출처 - 그린컨티뉴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