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꼼수) 믿고 쓰면 큰일! 중국산 원단 혼용율 꼼수의 실체

by 현소엠 2025. 4. 2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의류 생산 현장에선 매일같이 다양한 원단과 마주하게 되죠.

그중에서도 ‘혼용율’은 품질, 가격, 소비자 신뢰를 모두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그런데 실제 현장에선 표기와 실제가 다른 원단들이 심심치 않게 발견됩니다.

특히 중국산 원단을 사용하는 저가의 온라인 브랜드의 경우,

단가 경쟁을 위해 고의적인 혼용율 속임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죠.

이런 ‘꼼수’들은 브랜드 이미지에 큰 타격을 줄 수 있고,

심한 경우 리콜이나 법적 분쟁까지 갈 수 있어 반드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왜 중국산 원단에서는 혼용율 속임이 많을까?

1) 가격 경쟁력 우선 구조

중국 내 원단 시장은 워낙 경쟁이 심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우선입니다.

이 때문에 고가의 천연섬유(울, 린넨, 텐셀 등)를 사용한다고 표기해놓고,

실제로는 값싼 합성섬유(폴리, 아크릴, 나일론) 을 섞어 원가를 줄입니다.

2) 속는 사람이 바보라는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중 속인 사람 보다 속는 사람이 더 바보라는 문화가 있습니다.

그래서 일명 짝퉁 및 가짜 마오타이, 수정방등 판치는 세상이지요

3) 검사와 관리의 사각지대

중국 내에서 생산된 원단은 현지에서 성분 검사를 하지 않으면

실제 혼용율을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특히 OEM/ODM으로 대량 수입 시, 검수 생략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혼용율 속이는 대표적인 방식

저렴하게 파는 테무, 알리 등등 의류 제품은 혼용율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수입 되기 떄문에 소비자가 상세페이지에 표기된 혼용율만 보고 구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혼용율을 속이는 대표적으로 3가지 방식이 있는데

1) 표기만 고급스럽게 ‘라벨 조작’

예: ‘Cotton 100%’로 표기, 실제는 ‘Cotton 40% + Polyester 60%’

→ 원단 터치와 외관만 비슷하게 만들면, 일반 소비자나 샘플 검사로는 구별이 어렵습니다.

2) 양면 구조 사용: 앞면은 천연, 뒷면은 합성

→ 예를 들어 겉면은 텐셀처럼 보이지만, 뒷면은 레이온이나 나일론 혼방.

→ 이런 원단은 라벨에선 '텐셀 100%'로 표기되기도 합니다.

3) 염색 후 감촉/색상 동일화

→ 혼방된 섬유라도 염색과 마감 공정으로 감촉이나 색상까지 동일하게 처리해

일반적인 검사로는 감별이 매우 어렵습니다.


3. 수입자/생산자가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만일 브랜드 MD라면, 혼용율 사고로 인한 예방방지는 필수 입니다.

이런 작은 사고들은 브랜드 이미지에 큰 타격을 줄 수 있고,

심한 경우 소비자보호원을 통한 리콜이나 법적 분쟁까지 갈 수 있어 반드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바이어 필수 체크 사항

① 샘플 원단과 본 생산 비교 반드시 1~3롤 정도 본생산에서 직접 받아 감별해야 함

② 혼용율 테스트 한국 시험기관(KOTITI, FITI 등)에서 랜덤 혼용율 재검사 진행 권장 - 필수

③ 밀도 및 중량 확인 동일한 혼용율이어도 섬유 밀도, g/yd² 중량 확인 필요

④ 생산 전 ‘Lab-dip’ 및 ‘BULK Lab’ 확보 염색 견본과 함께 본생산 견본도 확보해야 진짜 혼용율 확인 가능


4. 속이기 가장 많은 소재 유형 TOP 5

여름철 소재가 가장 대표적으로,

린넨 셔츠 및 린넨바지 등, 린넨 관련 혼방 제품이 가장 많은 혼용율 사고가 발생합니다.

소재명
표기
실제 혼방
속임 형태
1
린넨 혼방
린넨 55%, 코튼 45%
폴리 60%, 레이온 40%
가격 낮추기 위해 유사 질감 혼방
2
텐셀
텐셀 100%
텐셀 30%, 레이온 70%
셀룰로오스 기반 섬유로 유사화
3
울 혼방
울 70%, 나일론 30%
울 10%, 폴리 60%,
나일론 30%
고급 이미지 유지용 속임수
4
코튼 100%
순면
폴리코튼 혼방
염색 및 마감으로 구분 어려움
5
캐시미어 혼방
캐시미어 10%
울 + 아크릴
감촉 위조, 원사 속임

특히나, 선염류의 셔츠나 의류 제품에는 원사 1가닥당 뭐가 들어가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

특히 혼용율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5. 믿지 말고 무조건 확인하라!

오래된 거래처이라 할지라도, 중국 원단일수록 혼용율 확인은 필수입니다.

(돌다리도 두드려보면 좋은법)

생산자, 수입자 입장에선 반드시 시험서 확보, 샘플 비교, 계약서 조건을 꼼꼼히 체크해야 합니다.

혼용율 하나가 브랜드의 품질 신뢰도와 소비자 만족도를 갈라놓을 수 있습니다.

혼용율 검사는 일반 검사소에서 5,000원 정도밖에 안하기 때문에, 5천원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를 실추하는일이 없게끔 중국원단일 경우!! 컬러별로 전체 검사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이상 현소엠 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