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싱 정보

전사 프린트 기본 개요 - 전사 프로세스

by 현소엠 2019. 12. 16.
728x90
반응형

기본 개요에 대해서 이해를 하셨으면 이제 전사프린트 생산 프로세스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소싱 MD입장에서는 생산하는 과정을 알아야 원가 절감 이라든지,

추후 사고 이슈가 있었을 때 어떤 게 잘못이었고 앞으로의 대처방안에 대해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전사 생산 프로세스 설명드리겠습니다.

1) 도안 접수 및 제작

 - 디자이너가 구상한 전사의 디자인 접수 (AI파일 즉, 일러스트 파일로 접수)

 - 디자이너가 제시한 도안 혹은 오리지널 샘플 등을 필름 출력기에 맞는 파일로 변환 및 제작합니다.

 - 필름 한 장에 가장 많은 수량이 올라갈 수 있도록 조절하는 작업 진행합니다.

전사프린트 디자인 도안

 2) 필름 출력 & 제판

전사필름 출력기

  - 필름 출력기를 통해 도안 필름 출력

제판기 (실크스크린 판에 도안 이동하는 용도)

 - 약제를 발라 건조시킨 실크스크린 판에 도안 필름을 겹친 후 제판기에 넣고 빛을 주어 투명 필름에 있는 그림 부분의 약제가 날아가 구멍이 뚫리도록 제작합니다.

실크 스크린 판에 전사가 이동된 모습

 - 실크스크린 판은 망사로 되어 있으며 망사의 밀도(1인치당 구멍의 개수)에 따라 … 120,135,150...목 등등으로 구분합니다.

 - 일반적인 전사는 135목의 판을 사용함 (전사 프린트는 스크린 프린트 대비 얇은 목수의 스크린으로 작업하여 표면이 상대적으로 매끄럽습니다.)

 - 원단이 두꺼우면 저 밀도의 목판을, 가장자리 표현이 많은 도안은 고밀도의 스크린을 사용

 - 실크스크린 판은 2~3번 재사용이 가능 - 약제에 담가 묻혔던 약제를 씻어내는 방법으로 재사용

 

 3) 염료(잉크) 믹싱

 - 도안 및 특성에 맞는 염료를 선택 후 테스트를 통해 컬러를 잡은 후, 컬러가 확정되면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배율에 맞게 약품을 조제한다. 

 - 약품의 믹싱이 고르게 잘되어야 전사의 퀄리티가 향상됩니다. (조제가 고르지 못할 경우 버블이 발생하여 전사 부착에 문제 발생 가능성 많습니다)

염료(잉크) 배합&믹싱

 4) 필름 프린트 및 건조작업

 - 필름 위에 실크스크린 판을 깔고 염료를 이용해 판(찍는) 작업 및 뒤판에 알맞은 접착제를 발라준다.

반자동 스퀴징 기계 (아래쪽은 PET, 위쪽은 실크스크린판 및 염료도포)

 - 여분의 접착제를 바람을 이용해 제거 후 건조작업을 한다.(공정 사이사이 검수작업을 진행한다)

접착제 도포 후 제거 작업

 - 통상 졸/실리콘은 가루형 접착제를 사용하며, 우레탄은 액상 접착제를 사용한다.

 

5) 추가 건조 및 칼선 따기 및 포장작업

 - 건조기에서 나온 필름을 낱장 별로 분리해 건조 작업 후, 해당 도안에 맞게 틀을 제작 후 필름을 넣고 칼선을 넣어 1매씩 분리시켜준다.

 - 분리된 전사 필름을 포장 및 수량 기재를 한 후 각 업체에 출고한다.

전사프린트 건조 작업

이렇게 전사 프린트 생산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요약하자면,

1) 도안 필름 출력 및 스크린 판 제작

2) 염료 배합 & 스퀴징 작업

3) 건조 & 출고

 

많은 참고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