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1년 차 현직 소싱 엠디 "현소엠"입니다.
다들 브랜드에서 22FW 입고를 앞두고 있는 시점이지요?
그래서인지 중국과 베트남에서 부지런하게 생산을 하고 있을텐데요
22FW 핵심 아이템 중 다운자켓
그 중 바뀐 라벨 표기법 주의 사항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오늘은 22FW때부터 적용되는
다운자켓에 대한 케어라벨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선 목차
▶ 다운 100% 자켓 표기 법
▶ 다운 + 충전재 혼합 자켓 표기 법
바로 본론으로 들어갑니다.
1. 다운(오리 or 거위) 자켓 케어라벨 표기법
우리가 추운 겨울철 항상 애용하는 다운 자켓,
바뀐 개정으로는 혼용율에 거위 or 오리의 솜털,깃털을 꼭 표기 해야합니다. (예전에는 솜털, 깃털 간단 표기 )
펜으로 박스 친 것처럼,
1. 오리(덕)다운 80/20 GRAY를 사용할때 솜털(다운) 제품(오리) / 충전재는 솜털 80% 깃털 20%
2. 거위(구스)다운 90/10 일 경우에는 솜털(다운) 제품(거위) / 충전재는 솜털 90% 깃털 10%
다른 충전재 없이 100% 다운(덕or거위)를 사용한 자켓이라면
①동물명, ②솜털, ③깃털 함유량을 표기 해야합니다.
2. 다운 + 충전재 혼합 자켓 표기 법
원가 문제로, 후드(모자) 부분에만 패딩을 쓰거나, 팔쪽에만 패딩을 쓴다던지
충전재를 다운과 패딩을 부위별로 나누어 쓸 때에는 표기법이 다릅니다. (주의하세요!!)
네모 박스 친것과 같이 다운-충전재1, 패딩-충전재2로 나뉘어 표기 해야 하며,
다운이 들어간 충전재에는 충전재1칸에 사용부위, 동물명, 솜털,깃털 함유량을 기입해야 합니다.
간단하게 아래 그럼처럼 기입하시면 됩니다.
예시) 다운(오리) 80/20 사용 + 카라부분에 패딩 충전재 동시 사용 할때
- 충전재 1표기 후 사용부위, 동물명, 솜털, 깃털 기입
- 충전재 2 표기 후 사용부위, 패딩 혼용율 기입
다운 + 충전재를 사용한 자켓이라면
①사용부위, ②동물명, ③솜털, ④깃털 함유량을 표기 해야합니다.
이상으로 현소엠이였습니다.
'소싱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하자마자 돈버는 의류 원가 5가지 파헤치기 (무료 미리보기 제공) (6) | 2022.11.06 |
---|---|
브랜드의류 컨펌 단계별 - 샘플용어 정리 (가봉, QC 등등) (0) | 2022.08.31 |
의류패턴 CAD 장단점 및 패턴 출력기 비용 정리 (1) | 2022.06.15 |
꼭 알아야 하는 의류 제품 3가지 검사 - (원단, KC, 완제품) (0) | 2022.05.17 |
의류용 "극세사(Micro Fiber)" 원단에 대한 3가지 (0) | 2022.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