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1년 차 현직 소싱 엠디 "현소엠"입니다.
브랜드의류에서는 제품을 생산하기 전, 컨펌 단계가 많습니다.
QC, PP, 초두, 수납 등등
그리고 또 회사마다 쓰는 용어가 조금씩은 다르지요
그래서인지 신입분들이나 경력직 분들이 용어 때문에 어려워하시는데
저 또한 회사를 옮길 때마다 다른 용어에 애를 먹었기도 했구요
그래서!!
오늘은 간략하게 브랜드 의류 컨펌 단계별 정확한 용어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선 목차 없이 바로 본론으로 들어갑니다.
1. 가봉(=프로토 샘플, 목업샘플, 보정샘플)
- 1차 샘플 제작 전 FIT 형태만 보는 샘플
- 최소한으로 샘플 작업 (부자재 없거나 최소한으로)
- 주로 옷의 형태만 제작하여 각 사이즈 측정용
2. 1차 샘플 (=일매 샘플, 1점 샘플 )
- 가장 기본 단계의 샘플
- 샘플 작업지시서 전달 후 기본적으로 첫 번째 만들어오는 샘플 (원단 + 부자재 온전히 갖춰서 만든)
- 경우에 따라서 QC샘플로 사용 가능
3. 컬러 샘플 (=각색 샘플)
- 1차 샘플 이후로 컬러별 샘플 제작 단계
- 컨벤션용 샘플 위주 (피팅용보다는 컬러 구성 보여주기용)
- 최대한 컬러 위주로 샘플 작업
- 1차 샘플 통과된 제품을 컬러별로 제작하여 외부로 보여주기 위한 샘플 단계
4. QC 샘플 (=APP, 어프로발)
- 컬러 샘플까지 완료된 후, 최종 셀렉 된 샘플에 대해 보정 절차를 걸쳐 최종 작업지시서 기준으로 제작된 샘플
- APP 이후로 자재 사양 확정 (지퍼 길이 및 단추 등 발주 시작)
- 메인 샘플이기에 디자이너, MD, 생산 등 여러 사람이 모여서 옷을 검토합니다
5. PP 샘플 (=FPP, 공장샘플 등)
- APP 이후 제작된 최종 공장 투입 전 샘플 (최종 제품화된 샘플의 단계)
- 공장에서 제작된 퀄리티여야 함
- 단추나 지퍼 등 원부자재 사양 변경 불가함 (단순 로고 위치 조정 및 일부 패턴만 수정 가능)
- PP SAMPLE이 컨펌이 되어야 대량생산이 가능합니다.
6. 초두 샘플 (=메인라인 샘플, TOP SAMPLE)
- 공장에서 생산된 초반 단계의 메인라인 (TOP of Production) 샘플
- 수량이 3천 이상일 때는 초두와 수납은 별도 제출
- 컨펌된 PP SAMPLE과 동일 여부 확인
- 대량생산 시 발생하는 불량 및 퀄리티 체크 가능
7. 수납 샘플 (=선적샘플, 쉬핑 샘플)
- 생산 완료 단계 샘플
- 패킹 방법 및 포장상태 확인 가능
- 입고 전 마지막 퀄리티 체크 가능한 단계로, 큰 봉제 수정은 불가합니다. (수정 시 납기 문제와 직결됨)
쓰다 보니 샘플 단계가 7단계나 있네요.
브랜드 마다 단계를 줄이거나 통합해서 하는 경우도 있고,
설명드린 단계는 컨펌 기본 구조이기 때문에 신입이나 연차 낮은 경력직 분들은 꼭 익히시기 바랍니다!!
이상 현소엠입니다.
'소싱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쭈리 구분법 4가지 TIP (헤비쭈리, 3단쭈리, 미니쭈리, TERRY 등) (2) | 2022.11.12 |
---|---|
구매하자마자 돈버는 의류 원가 5가지 파헤치기 (무료 미리보기 제공) (6) | 2022.11.06 |
다운 의류 라벨 이렇게 하지 않으면 벌금나옵니다!! (케어라벨 표기법) (0) | 2022.06.22 |
의류패턴 CAD 장단점 및 패턴 출력기 비용 정리 (1) | 2022.06.15 |
꼭 알아야 하는 의류 제품 3가지 검사 - (원단, KC, 완제품) (0) | 2022.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