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11년 차 현직 소싱 엠디 "현소엠"입니다.
오늘 알아볼것은!!
맨투맨 (스웻티셔츠)에 많이 활용되는 "쭈리"라는 원단!! 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시작 합니다.
선 목차
▶ 쭈리 간단 설명
① 중량 - 쭈리
② 원사갯수 - 쭈리
③ 원사 구분 - 쭈리
④기타 (기모)
◈ 쭈리 간단 설명
- 싱글기계에서 생산작업, 표면이 single 조직 back 면이 Loop 조직으로 이루어짐
- 영어(벤더에서 주로 사용 용어)로는 terry / 해당 글에서는 편의상 쭈리로 통칭
- 싱글과 동일 특징 (당기면 말리고, 앞뒤가 다른 형태)
1. 중량에 따른 분류
쭈리는 중량에 따라 크게 나눠지고, 중량이 높을수록 원단가격이 비싸지게 됩니다.
1) 헤비 쭈리 (헤비웨이트)
- "380"G/M2 이상의 중량을 가지는 원단
- 3단 쭈리 형태
- 가격 비쌈
2) 일반쭈리
- 중량 300G/M2 초반에서 중반까지의 쭈리 원단
- 일반적으로 3단 쭈리 형태를 띔
- 대부분 브랜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일반적인 형태
3) 미니쭈리
- 일반적으로 중량 300G/M2 이하의 원단
- 2단 쭈리 형태를 주로 띔
- SS 시즌에 주로 활용
2. 원사 갯수에 따른 분류
쭈리에 사용되는 원사 갯수에 따라 2단~3단 으로 나눠지게 됩니다.
중량 차이가 발생하며, 당연히 중간원사가 빠져서 원단의 두께감 (도톰함)의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1) 3단 쭈리
- 원사가 총 3개 사용
- ① FACE 원사(보통 면으로 사용) ② MID 원사 ③ BACK 원사
- 혼용에 따라 면100 쭈리 & CP(면과 폴리 혼방) 쭈리로 나뉘어 집니다.
- SS & FW 광범위하게 사용
2) 2단 쭈리
- 원사가 2개 사용
- ① FACE 원사(보통 면으로 사용) ② BACK 원사
- 3단쭈리에 비해 원사가 적게 들어가기에 중량이 좀더 가볍습니다.
- 주로 SS나 간절기 용으로 사용원단
3. 원사에 대한 분류
사용되는 원사에 따라 불리는 이름도 조금씩은 달라지게 됩니다.
중량은 관계 없고, 어떤 원사가 사용된지만 구분 하시면 됩니다.
1) 솔리드 쭈리
- 기본 1톤의 컬러를 가진 쭈리 원단
- 원단을 염색하는 후염방식으로 진행
2) 멜란지 쭈리
- 2톤의 컬러를 가진 쭈리 원단
- 퍼센트(%)가 높아짐에 따라 원단의 색이 짙어 짐 (가격 또한 상승)
- 솔리드 쭈리에 비해 가격이 높음
- 편직이후 염색이 아닌 소핑(SOAPING) 작업 진행
3) 면 쭈리
- 혼용율이 면 100%로 이루어진 쭈리 원단
- 축률 발생 위험이 있으며, 무겁고 딱딱하고 헤비한 느낌을 좋아하는 브랜드에서 주로 사용 중
4) CP 쭈리
- 면과 폴리 혼용에 따라 60/40 & 65/35 & 70/30 등등 여러가지 혼용율이 나오게 됩니다.
- 면 100% 쭈리에 비해 가성비가 좋아 최근 대부분 브랜드에서 많이 활용 중 (NEPA, 디스커버리, 네셔널 등등)
- 다만 면 100%에 비해 딱딱함(헤비함)은 떨어지는 손맛
- 안쪽면에 기모를 긁을시에 예쁘게 나옴
4. 기타
1) 기모쭈리
- 쭈리 원단의 안쪽 방향, 루프가 있는 방향에 기모를 긁어 형태를 만듬
- 핀기모 형태가 대부분이며, FW 시즌에 주로 사용 된다.
- 면보다는 CP쭈리 형태가 기모 작업시 예쁘게 나와 주로 사용 된다.
- 기모를 세게 긁을시에, 쭈리의 중간 원사가 빠져서 옷에 많이 달라 붙게 된다
이상으로 쭈리 원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현소엠 올림
반응형
'소싱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대문 원단 스와치 보는 3가지 방법 (해석방법) (0) | 2022.11.19 |
---|---|
원사의 중요구성 3가지 번수 & 데니어 & 필라멘트 요약 설명 (0) | 2022.11.16 |
구매하자마자 돈버는 의류 원가 5가지 파헤치기 (무료 미리보기 제공) (6) | 2022.11.06 |
브랜드의류 컨펌 단계별 - 샘플용어 정리 (가봉, QC 등등) (0) | 2022.08.31 |
다운 의류 라벨 이렇게 하지 않으면 벌금나옵니다!! (케어라벨 표기법) (0) | 2022.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