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사4

스크린 & DTF(전사) & DTG(완제품) 의류프린트 한눈에 쉽게 구분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11년 차 현직 소싱 엠디 "현소엠"입니다. 오늘 알아볼것은!! 일반 티셔츠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법인 여러가지 프린트 중 어떤게 스크린인지, DTG, DTF 인지 구분하는 방법을 가장 쉽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걸 알아야 어떻게 구현하고! 어떤게 더 적합한지! 어떤게 더 저렴한지! 알수 있겠지요? 제가 알려드린 아래 정보만 보더라도 90%이상은 구분하실수 있습니다 선 목차 ① 스크린(나염)의 장 단점 ② DTF(전사)의 장 단점 ③ DTG(완제품)의 장 단점 ④ 프린트 쉽게 구분 하는 방법 1. 스크린 프린트(일반 나염, 직접프린트) 장,단점 장점으로는, ① 원단과 우수한 접착력으로 떨어지지 않음 ② 저렴한 단가로 여러가지 기법(발포 및 후막 등등)을 활용하여 표현방법이 다양함 단점으.. 2024. 2. 7.
의류 나염 프린트(의류프린트)의 모든것 안녕하세요 현.소.엠 입니다.패션의류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나염(프린트)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오늘은 현직에서 여러 프린트를 보고 겪은 각 나염 프린트들의 특징들과 어떻게 구분이 되는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 목차▶ 나염 프린트의 분류 - 일반 프린트 : 직접, 전사, 부자재 - 전판 프린트 : 동판, 승화전사, 직접인쇄▶ 염료의 종류 - 수성 염료 : 피그먼트, 라바 - 유셩 염료 : 졸, 실리콘 1. 나염 프린트의 분류의류에서 나염, 즉 프린트라 불리는 종류에 대해서는 먼저 크게 2가지로 나뉘어 집니다.재단 후 각각의 옷 쪼가리(재단물이라 불리는)에 인쇄하는 재단물 프린트, 원단 전체에 인쇄하는 방식의 전판 프린트가 있습니다. 1) 일반(재단물) 프린트 재단 되어진 원단 쪼.. 2020. 12. 12.
특수 전사(우레탄 고주파)의 개요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PET 지를 활용한 기본적인 전사 프린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전사 프린트 중 입체감이 있으며 볼록한 형태를 띠는 우레탄 고주파 전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우레탄 고주파 전사란? 우레탄 시트지를 기본으로 한 바닥에 컬러 인쇄 후 고주파(열처리)로 성형하여 특유의 형태감을 띄게 하는 부착용 프린트 기법입니다. 1. 우레탄 고주파 전사의 형태 2. 제작 방법 1) 우레탄 시트지에 칼라 인쇄합니다. (컬러까지 인쇄되어 나오는 시트지도 있습니다) 2) 금형을 이용한 고주파 열처리 성형을 합니다. ▶ 고주파 열처리란? 유도가열을 이용한 열처리로, 가열 시간이 짧아 열로 인한 소재의 변형이 적은 특수 처리 방법 3) 전사 뒤편에 필름 형태의 바인더(접착제.. 2020. 2. 15.
전사 프린트 기본 개요 - 전사 프로세스 기본 개요에 대해서 이해를 하셨으면 이제 전사프린트 생산 프로세스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소싱 MD입장에서는 생산하는 과정을 알아야 원가 절감 이라든지, 추후 사고 이슈가 있었을 때 어떤 게 잘못이었고 앞으로의 대처방안에 대해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전사 생산 프로세스 설명드리겠습니다. 1) 도안 접수 및 제작 - 디자이너가 구상한 전사의 디자인 접수 (AI파일 즉, 일러스트 파일로 접수) - 디자이너가 제시한 도안 혹은 오리지널 샘플 등을 필름 출력기에 맞는 파일로 변환 및 제작합니다. - 필름 한 장에 가장 많은 수량이 올라갈 수 있도록 조절하는 작업 진행합니다. 2) 필름 출력 & 제판 - 필름 출력기를 통해 도안 필름 출력 - 약제를 발라 건조시킨 실크스크린 판에 도안 필름을 겹친 후.. 2019. 1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