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싱 정보/의류 사고 대응 메뉴얼

의류 불량사고 사례 - 실제 제품과 다른 검사결과가 나왔다면?

by 현소엠 2025. 2. 24.
반응형

13년 차 현직 소싱 엠디 "현소엠"입니다.

 

의류에는 많은 검사가 있는데요

요새 문제가 많이 되고 있는 원단 및 다운 검사에 대해 이야기 해드릴까 합니다.

https://m.news.nate.com/view/20250217n28886

 

[단독] 캐시미어 40%라더니 0%…LAP·잠뱅이 등 소재 오기재에도 버젓이 판매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9일 서울 명동거리의 의류매장에서 시민들이 겨울의류를 살펴보고 있다. 최근 의류 브랜드들의 패딩 충전재 혼용률이 표기한 것과 달리 기준치에 미치지 못해

m.news.nate.com

 

브랜드나 프로모션업체에서 원단이나 다운 검사시, 메인성적서는 이상이 없어

입출고 및 판매까지 이루어진 제품이 

소비자 클레임으로 인하여 불량제품을 소비자시험원에서 테스트 결과

메인성적서와 다른 상황이 발생 할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담당자로써 참 당황스럽겠지요?

나는 꼼꼼히 했는데 이건....뭐지?

 

흔치 않는 불량 사고 사례이지만, 

요새 문제 되고 있는 캐시미어 혼용율이나 다운 솜털 함유량등 

최근에 발생하고 있어 설명 해드리도록하겠습니다.

 

 

의류 불량사고 사례 (검사결과가 다를때!)

1. 발생원인

2. 대처방안

3. 추후 해결 방안

 


1. 발생원인

소비자가 불량을 제기한 옷이 정식검사를 통해

견뢰도가 떨어지거나, 다운 함량이 낮게 나와서 메인 성적서와 다른 경우는 크게 2가지 입니다. 

  1) 첫번째로, 메인제품과 납품제품이 다른 경우 (나쁜경우)

흔치 않지만, 이런 경우는 높은 확률로 브랜드&프로모션에서 정식검사한 제품과 소비자의 불량 제품이 다른 것이라고 보여질수 있습니다. 

정상 성적서는 납품처에서 특수 견뢰도 처리와 좋은걸 사용하고, 실제 납품에서는 퀄리티를 일부 속이는 경우가 발생 할수도 있습니다.

 

  2) 두번째로, 제품 별 lot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경우 

대량의 제품을 생산하다보면 일부 불량이나 적합하지 않은 제품이 가끔 섞여 들어 갈때가 있습니다.

 

예를들면, LOT-1 제품은 정식 검사표본으로 견뢰도가 5급이상이나

함께 납품 한 LOT-2는 염색과정 및 생지 문제로 4급이하 등등 

허나 그래도 결과적으로는 실 메인 제품과 차이가 있으니,  문제가 되는건 맞습니다.

 


 

2. 대처 방안

위에 언급한 2가지 모두 과정이 어떻든 소비자한테는 불량제품이 발생하였으니 브랜드에서는 불량 제품 수거 및 대응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1) 첫번째로, 아예 제품이 다른 경우

가장 먼저 다른표본을 활용, 추가 검사를 통해 해당 제품이 납품처에서 퀄리티를 속였는지 확인 해야 합니다.

이때 2가지 경우로

    ① 추가 검사 표본이 정상일경우, 소비자껏만 불량제품 판단으로 고객클레임 처리 (간단)

    ② 추가 검사 표본이 비정상일경우, 납품처에서 퀄리티를 속였다고 판단하여 별도 규제 처리 (어려움)

 

  2) 두번째로, 제품 별 lot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경우 

마찬가지로 추가 검사를 통해

    ① 추가 검사 표본이 정상일경우, 소비자껏만 불량제품 판단으로 고객클레임 처리 (간단)

    ② 추가 검사 표본이 비정상일경우, LOT 별로 나눠어 정상여부 체크 후 비정상 LOT에 대해서는 리콜 및 클레임 처리

 


 

3.추후 해결 방안

성적서와 다른 제품이 발생하고 리콜 및 클레임 처리가 완료 되었으면

추후에는 동일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메뉴얼화 하여 작업을 진행 해야 겠지요.

경우에 따라, 

  1) 첫번째로, 아예 제품이 다른 경우

발견된 업체가 거래가 오래 지속된 업체 일 경우, 몇년간 브랜드에서 표본 검사 진행 (비용은 납품업체 부담)

발견된 업체가 거래가 신규 업체 일 경우, 거래 종료

 

  2) 두번째로, 제품 별 lot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경우 

LOT가 많이 벌어지는 제품에 대해서는 별도 관리 진행, 랜덤 표본 검사 진행

동일 리오더 제품에 대해서는 랜덤 검사 진행

 


 

이상 성적서가 다르게 나와 당황스러울때 쓸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린

현소엠이 이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