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두서없이 써보는 간단 칼럼 현소엠칼럼 시간입니다.
어제, 오늘 무시무시한 뉴스를 들었습니다.
미국이 드디어 상호관세를 본격화 하면서
주요 의류 생산처인 중국, 베트남 등등 엄청난 관세가 발생했습니다.
베트남 46%…韓·美업계 ‘당혹감’
트럼프발(發)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가 4월 9일부로 발효된다.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적국이건 우방국이건 할 것 없이 무차별 관세 폭탄을 던졌다. 미국
www.tinnews.co.kr
주요 내용으로는,
- 트럼프발(發)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가 4월 9일부로 발효된다.
- 미국과의 FTA 체결국 중 한국이 25%로 가장 높았다.
- ▲캄보디아 49% ▲베트남 46% ▲스리랑카 44% ▲방글라데시 37% ▲인도 36% ▲인도네시아 32% ▲파키스탄 29% ▲말레이시아 27%다.
근데, 캄보디아는 10% / 필리핀은 17% 밖에 안하네?
관세가 높아진다는 이야기는, 쉽게 이야기 드리면
1,000원짜리 옷을 수출 할때는 46%인 460원이 관세로 책정되면서 미국한테 이익이 되고
소비자는 1,460원에 사야합니다.
원래는 1,000원짜리인데 => 1,460원이면...... 소비자한테는 엄청난 부담이라 소비를 줄이겠지요

이로 인해 베트남과 중국이 주 생산지였던 애플과 나이키 등등 엄청난 하락을 하고 있는데요
(주식을 사서 모아야 할때인건가....)
한편으로,
상당히 신뢰 할만한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 1기 집권때 반면교사 삼아,
1기 : 감세 경기 부양 → 관세 무역전쟁 → 경기 둔화 → 중간선거 패배 → 결국 재선 실패
2기 : 관세 무역전댕 → 경기 둔화 감수 → 감세 카드 비축 → 중간선거 경기부양 → 재선 확보
차기 집권 및 중간선거를 위해 현 관세 전쟁을 먼저 진행 시켰을 거라는 의견이 나왔는데
만약 이게 맞는 내용이라면,
당분간 경기 둔화는 감수 해야겠네요

가뜩이나 최근 국내에는 어려운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미국이 경기둔화까지 가게 되면
경기 침체에 빠지지 않을까 우려 됩니다.
더구나 소비심리에 가장 의존하는 국내 의류 시장은 더더욱 어두운 터널을 진입하겠지요
그래도
난세에 영웅이 나는법,
어려운 시기를 잘 견녀 낸 브랜드가 시장에 안착하게 되고
롱런 하는 브랜드가 될것 같습니다!!
이상 현소엠 입니다.
'현소엠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꼼수) 의류 생산업체에서 손(기계)세탁 안되고 드라이클리닝만 권하는 이유!! (1) | 2025.04.11 |
---|---|
현소엠칼럼) 컬러 되살리는 세제? PERWOLL(퍼울)의 놀라운 색상 복원 비밀 (2) | 2025.04.10 |
현소엠 칼럼) 30분이면 맞춤 목도리 만들수 있는 편직기,환편기 (1) | 2025.04.02 |
현소엠 칼럼) 이 브랜드는 이렇게 성공했다! 대박 난 의류 전략 3가지 키워드!! (0) | 2025.03.25 |
현소엠 칼럼) 13년차 현업자가 느끼는, 벤더와 생산MD 직무 차이 4가지 (0)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