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소엠 칼럼

칼럼) 중국 원단, 다시 주목받는 이유는? – 생산 MD가 말하는 소싱의 판도 변화

by 현소엠 2025. 4. 1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19년의 엄청난 코로나 파동 이후 전 세계 패션 산업은 단순히 ‘예쁜 옷’이 아닌, 

‘안정적인 공급망’을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나 spa패션에서는요

 

그 흐름 속에서 중국산 원단은 한동안 "믿을 수 없다", "피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했죠.

그래서 베트남을 주요 원단처로 개발을 하려는 모습이 보였구요

 

하지만 중국 원단이 다시 주요 소싱처로 떠오르고 있는 현상을 보셨나요?

 

단가 압박과 납기, 품질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생산 MD 입장에서

중국의 원단 생산 환경은 다시 한번 매력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왜 한동안 중국산 원단이 외면받았나?

 

결국 코로나 시기에 중국의 강제적인 셧다운과 이동금지 조치로 인해

안정적인 공급망이라는 신뢰가 사라졌습니다.

저 또한 그 기간동안 일부 항구가 막혀 타 항구로 이동 중이던

완성제품을 운송하던 배송기사가 제품을 들고 사라져 기획제품 캔슬까지 가게되는

어이없는 경우도 발생을 했습니다.

 


2. 그런데 왜 지금 다시 중국인가?

 

① 생산 효율성과 다양성의 강점

중국은 대량 생산, 다품종 대응, 신속한 납기에서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특히 우븐, 나일론, 폴리 원단의 옵션 다양성은 확실히 동남아보다 앞서 있습니다.

 

② 가격 재경쟁력 확보

최근 베트남(2024년 6%상승), 인도네시아 등도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중국이 오히려 단가에서 다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중국이 내수침체로 인해 가격을 후려칠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③ 내수 시장과 연계된 안정성

중국 내 대형 원단 기업들이 내수 + 수출을 동시에 돌리며 공장 운영 안정성이 높아진 것도 주목할 점입니다.

 

 


3. 실제 브랜드들의 움직임

글로벌 SPA브랜드 부터가 먼저 중국 원단 사용을 확대 하고 있습니다.

봉제는 관세 문제로 인해 중국에서 하지는 않아도

저렴하고 효율성이 높은 중국원단을 제 3국으로 수출하여 작업량을 늘리고 있는 실정 입니다.

 


4. 동남아 생산 vs 중국산 원단의 혼합 전략

 

▶동남아(방글라데시, 베트남) : 임가공, 봉제 집중

▶중국 : 원단 소싱 및 부자재 중심의 서플라이 체인 재정비

 

기존 내수 브랜드 들이 사용하던 형태를 현재는 글로벌 SPA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동남아 봉제 + 중국 원단 수입 조합이 최근 가장 효율적인 조달 패턴

 


 

<전문가 꿀팁 TIP!! 2025년 버젼>

① 중국산 원단은 공급처에 따라 품질 차이가 큽니다. → 광저우(패션), 우저우/장쑤(기능성), 저장성(우븐)

② 거래 전에 반드시 Lab-dip, Test 보고서 확인 필수

③ 중국에서는 봉제를 하지 않고 원단만 가지고 나가기 때문에, 비어있는 중국봉제공장 임금 후려치기로 진행 가능

 

 

이상 현소엠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