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싱 정보156 의류 불량사고 사례 - 실제 제품과 다른 검사결과가 나왔다면? 13년 차 현직 소싱 엠디 "현소엠"입니다. 의류에는 많은 검사가 있는데요요새 문제가 많이 되고 있는 원단 및 다운 검사에 대해 이야기 해드릴까 합니다.https://m.news.nate.com/view/20250217n28886 [단독] 캐시미어 40%라더니 0%…LAP·잠뱅이 등 소재 오기재에도 버젓이 판매 : 네이트 뉴스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9일 서울 명동거리의 의류매장에서 시민들이 겨울의류를 살펴보고 있다. 최근 의류 브랜드들의 패딩 충전재 혼용률이 표기한 것과 달리 기준치에 미치지 못해m.news.nate.com 브랜드나 프로모션업체에서 원단이나 다운 검사시, 메인성적서는 이상이 없어입출고 및 판매까지 이루어진 제품이 소비자 클레임으로 인하여 불량제품을 소비자시험원에서 테스트 .. 2025. 2. 24. 정보) 원가 줄이는법 (심화과정2. 검사비 절감) 안녕하세요 현직 13년차 소싱MD인 현.소.엠 입니다.최근 급등한 환율로브랜드 & 모든업체에서 전부 원가절감, 비용절감, 인력절감노래를 부르고 다니는데 마른 수건을 쥐어짠다는 느낌으로오늘은 새로운 원가 절감 항목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 목 차 - 1. 검사비란? 2. 어디 부분을 줄이면 되는데?① 검사 항목 - 일반원단 / 가죽 / 유아동② 검사 업체 비딩 3. 얼마가 줄어드는데?1. 검사비란?검사비라고 불리는건 크게 2가지 형태가 있습니다.1) 원단 유해성 및 견뢰도 시험검사 - 견뢰도 및 KC2) 메인원단 외관 검사 - DEFECT 및 이염 그 중 금액적인 부분과 약간은 절감이 필요한 항목은 [원단 유해성 및 견뢰도 시험검사] 입니다.유해성 검사는 필수 항목이기에 제외하고대부분 브랜드에서 .. 2025. 2. 18. 정보) 원가 줄이는법 (심화과정1. 요척 절감) 안녕하세요 현직 13년차 소싱MD인 현.소.엠 입니다.2020년 원가 절감에 대하여 블로그에서 이런글을 썻는데,https://cloths-product.tistory.com/16 원가 줄이는법 (원가 절감)소싱MD의 주역할인 원가 절감에 대해 현업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몇가지를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의류에서 차지하는 제조비용(원가)은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 1.원단 2.부자재 3.공임 4.기타(cloths-product.tistory.com 오늘은 좀 더 디테일한 심화내용으로원가 줄이는 방법 중, 원단의 요척 절감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 목 차 - 1. 원단 - 요척 2. 어디 부분을 줄이면 되는데?① 패턴의 LOSS율② 패턴의 시접 분량 길이③ 패턴 길이 1. 원단 - 요척의류의 원가.. 2025. 2. 17. 의류 불량사고 사례 - 가먼트다잉 후에 라벨이 지워지거나 이염되었다면? 13년 차 현직 소싱 엠디 "현소엠"입니다. 많이들 하시는 가먼트다잉 기법 (완제품 봉제를 한후에 염색을 해서 빈티지한 느낌을 주는 기법)을 대부분 브랜드면 해보셨을텐데 가먼트 다잉시 라벨도 염색이 된다는거 알고 계시죠?메인라벨 및 케어라벨 등등 하지만, 케어라벨은 소비자의 AS및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꼭 정확히 표기 되어있어야 하는데요이런 케어라벨에 염색이 되서 안보이거나 지워지면 어떻게 할까요? 해결 방법에 대해 안내 드리겠습니다.너무 간단해서 올릴말까한 내용인데 혹시 모르시는 분들이 있을수 있으니 방안에 대해 이야기 해드릴까 합니다. 의류 불량사고 사례 (케어라벨이 오염됬을때)1. 대처방법2. 대처방안으로 발생하는 단점 1. 다잉 후 케어라벨이 지워진다면? 가먼트 다잉 후 케어라벨 재질에 따라.. 2025. 2. 13. 정보) 재단 기계에 따라 달라지는 요척을 알아보자 (밴드나이프, CAM) 안녕하세요 현직 13년 차 패션의류 생산 & 소싱 엠디인 "현소엠"입니다. 의류 생산이나 원가에서, 실제 원단값도 중요하지만, 원단이 얼만큼 들어가느냐를 나타내는 요척이 요척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요척이 커지면 커질수록 원단이 들어가는 양이 커지기 때문에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추가적으로 부족한 원단에 대해 공급을 해야줘야 하기에 추가로 운송비용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이렇듯 요척은, 의류 생산시 뗄레야 뗄수 없는 단위 인데요.대부분 패턴프로그램으로 마카 or 유가 프로그램 돌려서 나오는 요척이 전부라고 알고 있지만실제 공장에서는 원단을 재단하는 기계에 따라 요척이 달라질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재단기계에 따라 달라지는 요척으로크게 재단 기계 2가지 종류에 대해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목 차 - .. 2025. 2. 12. 정보) NASA가 인증한 기술이 있다고?? 신소재 [Trizar Fabric]의 4가지 사실 현직 13년차 소싱&생산엠디 현소엠입니다.오늘은 가끔씩 찾아오는 신소재 관련 내용으로 알려 드립니다.아웃도어나 스포츠를 하게 되면 항상 접하는 신소재를 어떻게 마케팅 해서 소비자한테 잘 판매 하느냐가 매출을 많이 만들어 낼수있겠지요. 그래서 오늘은 신소재 중 하나인 Trizar 이라는 소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목차 - 1. Trizar 이란? 2. Trizar의 주요 기능 및 마케팅 포인트는? 3. 주요 사용 아이템은? 1. Trizar 이란?NASA에서는 지구의 대기권으로 재진입 하는 동안 뜨거운 열로부터 우주선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세라믹 코팅 재료(PCCM)를 개발했습니다. 이러한 PCCM을 활용한 세라믹 코팅은 "높은 반사율"을 갖습니다.그리고 이러한 기술로 탄생한 Trizar 패브.. 2025. 2. 10. 의류 불량사고 사례 - 옷에 각이 안 살아요 (비건레더 및 심지작업) 13년 차 현직 소싱 엠디 "현소엠"입니다. 캐쥬얼과 아웃도어와는 다르게 남성복에서는 심지 작업을 많이 합니다.아직까지는 경량화보다는, 각이 살아있는 그런 간지를 원하는듯 하지요 그래서 대부분 점퍼에서도 몸판에 심지를 추가 부착하여 각을 살립니다. 경험으로, 최근 유행하는 비건레더 자켓이나 가죽자켓류 경우원단이 흐물거리는 경우가 많아 특히나 심지 작업을 해야 하지요!그래서 옷이 흐물거릴때 대처해야하는 방안에 대해 이야기 해드릴까 합니다. 의류 불량사고 사례 (옷&원단이 흐물거릴때)1. 원단상태 대처방법2. 재단상태 대처방법3. 제품상태 대처방법 1. 원단 상태라면?샘플을 만들고 뭔가 옷에 각이 안서고 할때는 가장 먼저 해야하는 방법은 원단상태로 있다면, 전체 원단 심지 부착 작업을 해야 합니다. (.. 2025. 2. 7. 정보) '비건레더'에 대한 중요한 5가지 궁금증 안녕하세요 현직 13년 차 패션의류 생산 & 소싱 엠디인 "현소엠"입니다. 최근 '비건' 이라 불리는 인조가죽, 인조 스웨이드 원단들이 트렌드로 많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사회적으로 리얼 가죽과 퍼를 잔인하게 채취하는 영상들이 많아졌기 때문인데요 물론 가격도 인조가죽류가 더 저렴하지만요. 그래서 오늘은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비건레더, 일명 인조가죽이라 불리는 PU원단에 대해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목 차 - 1. 폴리우레탄(PU) 원단이란? 2. PU원단의 후공정 3. 폴리우레탄 코팅 원단 제조 공정 4. PU원단과 리얼 가죽의 차이점 5. 기타 - 자주 묻는 질문 1. 폴리우레탄(PU) 원단이란? 폴리우레탄(PU)원단은 고무층이 원단형태로 있거나, 원단의 한면에 덧대어져 있는 형태.. 2025. 2. 6. 정보) 일본 수입원단 코마츠 마테레 안녕하세요 현직 12년 차 패션의류 생산 & 소싱 엠디인 "현소엠"입니다. 저는 아웃도어 및 점퍼를 많이 다루는 현직 MD인만큼 여러 소재를 접할 기회가 많은데요오늘은 일본 수입 원단 중 코마츠 마테레에서 생산하는 사일러스 코팅 직물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현소엠은 챗 GPT를 활용해서 작성하지 않습니다!!) 간단 목차1. 코마츠 마테레란?2. 주로 제작 되는 원단들은?2. 사일런스 코팅이란? 1. 코마츠 마테레란? 1) 일본 전통의 화섬 NY, PE, 기능성 전문 기업 - 1티어 2) 1943년 일본 혼슈의 서쪽 해안에 자리 잡은 이시카와 현에서 ‘고마츠오리모노세이렌센토’로 출발했다. 3) 이시카와 현은 일본의 전통적인 실크 산지이자 섬유산업의 메카 중 한 곳으로 꼽힌다. 4).. 2025. 1. 24. 정보) 사이즈별 제작 비율 정하는 법 안녕하세요 현직 13년 차 패션의류 생산 & 소싱 엠디인 "현소엠"입니다.새로운 시즌을 진행하게 되면 항상 하게되는 사이즈 제작 비율을 정하기가 어려우실텐데요기획이나, 직접 브랜드를 운영하게 되면 사이즈별 제작 비율 정하기가 곤란하실텐데요100을 많이 만들자니 95사이즈는 얼마나 줄여야 할지? 105는 어떻게 늘려야 할지?이때 활용 할 수 있는 사이즈별 생산 비율 정하는 비법 & KNOW-HOW를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사이즈 & 생산비 차이 점검 현 시즌의 품목별 사이즈 제작비율을 정하기 위해서는우선, ① 전년 시즌의 총 사이즈 생산 비율 ② 전년 시즌의 총 사이브 판매 비율이 2가지를 구해 차이를 확인 하시면 어떤 사이즈 생산대비 해서 더 많이 팔렸구나를 아실수 있으실텐데요 예시로,.. 2025. 1. 23. 이전 1 2 3 4 5 6 ··· 1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