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325

칼럼) 중국 원단, 다시 주목받는 이유는? – 생산 MD가 말하는 소싱의 판도 변화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19년의 엄청난 코로나 파동 이후 전 세계 패션 산업은 단순히 ‘예쁜 옷’이 아닌, ‘안정적인 공급망’을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특히나 spa패션에서는요 그 흐름 속에서 중국산 원단은 한동안 "믿을 수 없다", "피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했죠.그래서 베트남을 주요 원단처로 개발을 하려는 모습이 보였구요 하지만 중국 원단이 다시 주요 소싱처로 떠오르고 있는 현상을 보셨나요? 단가 압박과 납기, 품질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생산 MD 입장에서중국의 원단 생산 환경은 다시 한번 매력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왜 한동안 중국산 원단이 외면받았나? 결국 코로나 시기에 중국의 강제적인 셧다운과 이동금지 조치로 인해안정적인 공급망이라는 신뢰가 사라졌습니다.저 또한 그 기간동안 일.. 2025. 4. 12.
꼼수) 의류 생산업체에서 손(기계)세탁 안되고 드라이클리닝만 권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많은 의류 케어 라벨을 보다 보면 “물세탁 금지 / 손세탁 불가 / 드라이클리닝 전용”이라는 표시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많은 소비자들은 이 표시를 보고 “이 옷은 왜 세탁기나 손빨래가 안 될까?”라는 궁금증을 가지는데요, 여기서도 생산업체, 브랜드들의 꼼수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현직 의류 생산 전문가의 시선으로,왜  대부분의 의류는 드라이클리닝만 권장되는지 설명해드릴게요. 1. 브랜드들은 왜 드라이 클리닝만 권하나? 왜 브랜드들은 일반 합성섬유인 폴리&나일론 제품에서도 케어라벨에 손세탁, 기계세탁은 불가하고 왜 오로지 드라이 클리닝만 권할까?(심지어 일반 폴리 100% 티셔츠에도)  이유는 간단합니다. 일부러 세탁에 대한 기준을 빡세게, 높게 잡는것이지요.소.. 2025. 4. 11.
현소엠칼럼) 컬러 되살리는 세제? PERWOLL(퍼울)의 놀라운 색상 복원 비밀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오늘은 의류 생산이나 관리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최근 한 번쯤 들어보거나 광고를 보셨을 ‘PERWOLL(퍼울)’ 세제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색이 바래지지 않고 오래 입을 수 있다", "울 제품에도 사용 가능하다" 등 색깔을 다시 살린다는 다양한 후기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실제로 이 제품이 어떤 원리로 작용하는지, 그리고 어떤 기능이 의류에 도움이 되는지를섬유 전문가의 시선으로, 그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드릴게요.  1. PERWOLL이란?일단, PERWOLL(페르웰)은 독일의 Henkel사에서 만든 프리미엄 섬유용 세제 브랜드입니다.특히 울(Wool), 실크(Silk), 기능성 소재, 합성섬유, 컬러 의류 전용 라인으로 다양하게 출시되어 있고,유럽에서는 고.. 2025. 4. 10.
현소엠 [의류 생산 교육] 5기 진행완료!! 매주 토요일 5주 동안 진행되는현소엠의 오프라인 클래스 [의.생.교] 5기도 잘 마무리 되었습니다.​지난 5기 일정 : 3/8 ~ 4/5  5주 동안 강의에 참석 해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출근하기도 힘든 평일뿐만 아니라, 토요일 오전까지먼길 참석 하시느라 고생하셨어요 ^^ ​이번 5기분들 의류 생산 담당자분들이 찾아주셔서 현업에 딱 맞는 TIP과 함께즐겁게 여러가지에 이슈에 대해 대화하듯이 질문하고 답변드리면서 편하게 할 수 있었던거 같습니다!!  [의.생.교 - 5기 클래스 100% 실제 후기] [의.생.교 - 5기 클래스 강의] 이번 기수 참여자분들은 10년차부터 3개월 신입까지분들이였구요 오랜 경력자분들은, 본인들의 지식을 전체적으로 정리하는 느낌!!신입분들은 어떻게 해야할지 몰랐을때 대응하는.. 2025. 4. 9.
정보) 파인애플이 가죽이 된다고? 식물성 인조가죽의 비밀 공정 공개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요즘 패션 업계에서는 ‘비건 레더’ 또는 ‘식물성 인조가죽’이 주목받고 있습니다.https://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cate=CAT11Z&idx=216643 선인장, 버섯으로 만든 국산 비건 가죽, 확대일로[어패럴뉴스 박해영 기자] 최근 국내산 식물성 가죽 시장이 확대일로다. 그동안 국내 패션 업계는 선인장 가죽인 ‘데세르토’, 파인애플 가죽인 ‘카르멘 이요사’ 등 해외파 비건 가죽www.apparelnews.co.kr 양이나 소 등의 동물성 가죽을 대체하는 친환경 소재로서, 소비자들의 지속 가능성과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많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이 소재를 적극 활용하고 있죠. 하지만 이 ‘식물성 가죽’은 정말 식물만으.. 2025. 4. 8.
정보) 더운 여름철, 땀에 젖으면 진해지는 원단 컬러, 알고 보면 착시 현상?!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무더운 여름철 겨드랑이나 등에땀에 젖은 티셔츠나 셔츠가유독 색깔이 진해져서 민망한 상황을 연출한 경우!!  하지만 사실 이건 색이 변한 게 아니라, 눈이 착각한 겁니다.원단에 물이나 수분이 묻으면 왜 색이 진해 보일까요? 단순한 흡수 현상이 아니라, 원단의 구조와 빛의 반사에 관련된 과학적인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오늘은 ‘섬유 위에 물이 묻었을 때 왜 색이 진해지는가?’라는 흥미로운 질문을 통해원단의 물성과 시각적 반응에 대해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1. 땀이나 물에 젖은 원단의 색 변화 원리원단이나 섬유에 물이 묻으면 광학적(Optical), 물리적(Physical), 화학적(Chemical)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며,이것들로 인해 빛의 흡수.. 2025. 4. 7.
정보) 원단에서 윤활제를 벗긴다고? – 고급 원단의 숨은 공정, ‘호발’ 이야기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오늘은 섬유 생산의 숨은 핵심 공정, 바로 ‘호발(De-sizing)’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이 공정 하나가 원단의 품질과 최종 의류의 완성도를 크게 좌우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프리미엄 브랜드에서 요구하는 고품질 원단의 핵심에는 '호발'의 완성도가 숨어 있습니다. “왜 세탁했는데 원단이 뻣뻣하지?” 혹은 “염색이 고르지 않네?”라는 문제도이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발생할 수 있어요. 의류 생산 MD나 원단 전문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기초이자, 원단 퀄리티를 업그레이드하는 보이지 않는 설계입니다. 이제부터 호발이 무엇이고, 왜 그렇게 중요한지, 실제 생산 현장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전문적인 시각으로 풀어드릴게요.. 2025. 4. 6.
현소엠칼럼) 폭싹, 속았수다 - 미국 vs 한국,베트남 관세 안녕하세요 두서없이 써보는 간단 칼럼 현소엠칼럼 시간입니다. 어제, 오늘 무시무시한 뉴스를 들었습니다. 미국이 드디어 상호관세를 본격화 하면서 주요 의류 생산처인 중국, 베트남 등등 엄청난 관세가 발생했습니다. https://www.tinnews.co.kr/28405 베트남 46%…韓·美업계 ‘당혹감’ 트럼프발(發)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가 4월 9일부로 발효된다.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적국이건 우방국이건 할 것 없이 무차별 관세 폭탄을 던졌다. 미국www.tinnews.co.kr  주요 내용으로는,트럼프발(發)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가 4월 9일부로 발효된다.미국과의 FTA 체결국 중 한국이 25%로 가장 높았다.▲캄보디아 49% ▲베트남 46% ▲스리랑카 44% .. 2025. 4. 5.
정보) 2025년 현재 동남아시아 평균임금 정리!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대부분의 브랜드들이 해외 의류 생산을 많이 하시는데요항상 공임가지고 비싸네 싸네 등등 여러 내용이 많이 생깁니다. 제가 저번에 공임을 계산할 때 알려드린 팁은공임 = 라인차지 / 일일생산량이라고 말씀 드렸는데요 이때 라인차지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게 봉제 인력들의 임금입니다.  봉제라는 산업이 반도체처럼 고급산업이 아니라 아무래도 낮은단계 산업이라해당 나라의 최저임금과 연관이 많습니다. 오늘은 그래서 각 나라별 최저임금에 대해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최저임금 = 공임 이라고 연관하시면 됩니다.  1. 중국중국의 최저임금은 지역별로 상이하며, 주요 도시의 월 최저임금은,상하이: 약 2,590 위안 (약 $400)베이징: 약 2,320 위안 (약 $360)광둥성: 약 2,100 위.. 2025. 4.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