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8

정보) 휴먼메이드도 썻다!! 슬럽 vs 일반 싱글 – 어떤 걸 써야 팔릴까?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혹시 이런 원단 본 적 있으세요? 겉면이 균일하지 않고, 약간 물결치듯 올록볼록한…딱 봐도 "내추럴"하고, 세련된 느낌이 나죠. SPA 브랜드나 라이프웨어에서 자주 보이는 이 원단, 슬럽(Slub) 원단이라고 불립니다. 겉보기에 편해 보이지만, 막상 원단을 생산 및 봉제하려고 하면 여러 가지 고려할 점이 많아요. 티셔츠를 제작할 때 이걸 쓸까 말까, 늘 고민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오늘은 슬럽 원단이 뭔지, 어디에 어떻게 쓰면 좋은지,꼭 알아야 할 포인트까지 하나씩 정리해볼게요. 1. 슬럽 원단이란? 1) 슬럽 원단의 정의실 자체에 두께가 불균일하게 짜여 있는 원단으로일정하지 않은 실을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무늬나 텍스처가 생기는 원단입니다.예전에는 불량 원.. 2025. 5. 9.
정보) 진짜 린넨일까? 린넨처럼 보이는 ‘린넨라이크’의 모든 것 (면 & 합성섬유 린넨라이크)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여름 시즌만 되면 빠지지 않는 단골 소재, 바로 린넨이죠.그런데 최근에는 리얼 린넨 대신 ‘린넨라이크’ 원단이 인기입니다. 브랜드마다 “린넨 느낌의 합성 소재”, “구김 적고 관리 쉬운 린넨 스타일”이라 소개하곤 하는데요,과연 이 린넨라이크가 뭔지, 실제 린넨과는 뭐가 다르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생산자 입장에서 원단을 선택할 때 꼭 알아야 할 기준들을 정리해봤습니다. 또 ‘이게 린넨이에요?’라는 질문을 받을 때어떻게 설명하고 설득할지도 함께 풀어볼게요. 1. 린넨라이크 (Linen Like)란? 1) 합섬섬유 - 린넨라이크(Linen-like)천연 린넨과 유사한 외관, 질감, 통기성을 갖도록 설계된 합성섬유 기반의 직물.대표적으로 폴리에스터, 레이온, 나일론 등을 린넨처럼 .. 2025. 5. 7.
정보) 워셔블 옷,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 – 체크포인트 총정리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이 옷 세탁기 돌려도 되나?"옷을 구매 할때 한번쯤은 해보는 고민, 여러분도 당연히 해보셨죠?특히나 셔츠나 스웨터 같이 가격이 어느정도 있는 옷에 대해서 하지만 온라인몰 상세페이지에 ‘워셔블’이라고 적혀있어도,막상 돌려보면 옷이 줄거나 뒤틀리기도 합니다. 세탁이 쉬운 옷일수록 자주 입히게 되고, 결국 소비자 만족도가 올라가죠. 그런데 워셔블이라는 말,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요?그리고 MD 입장에서 ‘진짜 워셔블’로 만들기 위해선어떤 공정과 테스트가 필요할까요? 오늘은 워셔블에 대해 혼동 하고 있는 사실 및 팩트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http://m.apparelnews.co.kr/news/news_view/?cat=CAT100?cat=CAT11Z&idx=214058 저렴하고 편.. 2025. 5. 5.
칼럼) 중고가 아니라 ‘빈티지’라고 불러주세요 – 현업 MD가 본 진짜 이야기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한 번쯤 “요즘 MZ세대는 새 옷보다 중고 옷을 산다더라”는 말 들어보신 적 있으시죠?예전엔 헌 옷이라 꺼려졌던 중고 의류가, 이제는 가치 소비의 상징이자‘지속가능한 패션’을 대표하는 키워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실제로 해외 명품 리세일 마켓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하고 있고,무신사, 번개장터, 크림 같은 플랫폼도 중고 패션으로 확장 중입니다. https://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cate=CAT11Z&idx=215998 중고 패션 시장 급성장…지난해 5조원 돌파[어패럴뉴스 정민경 기자] 국내 중고 패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업계에 의하면 지난해 국내 중고 의류 시장 규모는 5조 원대로, 매년 30%씩 성장하고 있다.www... 2025. 5. 2.
정보) 시어서커와 크링클의 모든 것 – 제조 공정부터 품질 관리까지 (ps. 이세이미야케 플리츠)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여름철 원단 이야기, 다들 "시어서커"는 한 번쯤 들어봤을 거예요.뽀글뽀글한 주름이 있는 원단, 그냥 다 시어서커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죠. 하지만 사실 "크링클"이라는 비슷한 친구도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이세이미야케 디자이너의 핵심 플리츠 원단!!) 마치 "아이폰"과 "갤럭시"가 둘 다 스마트폰이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듯,크링클과 시어서커도 겉모습은 비슷해도 제작 방법과 특징이 전혀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원단을 소비자, 그리고 특히 생산자 입장에서 확실하게 구분하는 방법을재미있게 풀어드릴게요. 현업에서 헷갈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정리해봅시다! 1. 크링클 vs 시어서커 원단의 정의·제조·특성 비교 1) 크링클이 뭘까? 크링클(Crinkled) 원단은 직물 표면에 주름이.. 2025. 4. 30.
정보) 여름 원단 끝판왕, 시어서커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찝찝한 여름, 땀 때문에 옷이 몸에 달라붙는 느낌...생각만 해도 불쾌하시죠? 이럴 때 시원한 여름용 원단 중 하나가 바로 시어서커라 불리는 원단 입니다.보기만 해도 주름이 살아있고, 입으면 몸에 닿지 않아 통기성 최고!그런데 이 원단은 구김이 많은 게 오히려 장점이라는 거 오늘은 시어서커의 구조, 기능성, 장단점에 대해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시어서커의 본질은 “울퉁불퉁 요철감” 1) 시어서커의 정의시어서커는 일정한 주기로[평직] 조직의 경사를 팽팽하게 짠 부분과, 느슨하게 짠 부분을 교차시켜원단에 요철감을 만드는 직물입니다. 이 요철 덕분에 피부와 원단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쾌적함과 통기성이 생깁니다. 2) 시어서커의 제조 방식 ① 직조 방식구.. 2025. 4. 28.
린넨, 시원하지만 불편한 이유 – 여름 소재의 오해와 진실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 여름이 되면 의류 소재 중에서 빠질 수 없는 게 바로 ‘린넨’입니다. 왠지 자연스럽고 시원해 보이는 무드, 내추럴한 질감,그래서 셔츠나 바지에 "린넨 = 여름 전용 원단"이라는 공식이 머릿속에 박혀 있죠. 하지만 의외로 린넨이 불편하다는 사람들도 꽤 많습니다. 특히 땀이 많은 사람들일수록,"옷이 몸에 달라붙는다", "얼룩이 생긴다", "뻣뻣해서 불편하다"는 피드백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린넨의 진짜 장단점과 여름철 적절한 착용법까지의류 브랜드 MD의 시선으로, 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드릴게요! 1. 린넨의 핵심 특성 1) 장점 ① 우수한 통기성 린넨은 섬유 간 공극(빈 공간)이 많아 공기 순환이 탁월합니다.그래서 열이 쉽게 빠져나가 시원한 착용감을 줍니다. ② 빠.. 2025. 4. 25.
꼼수) 믿고 쓰면 큰일! 중국산 원단 혼용율 꼼수의 실체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의류 생산 현장에선 매일같이 다양한 원단과 마주하게 되죠.그중에서도 ‘혼용율’은 품질, 가격, 소비자 신뢰를 모두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그런데 실제 현장에선 표기와 실제가 다른 원단들이 심심치 않게 발견됩니다.​특히 중국산 원단을 사용하는 저가의 온라인 브랜드의 경우,단가 경쟁을 위해 고의적인 혼용율 속임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죠.​이런 ‘꼼수’들은 브랜드 이미지에 큰 타격을 줄 수 있고,심한 경우 리콜이나 법적 분쟁까지 갈 수 있어 반드시 주의가 필요합니다.​​​​1. 왜 중국산 원단에서는 혼용율 속임이 많을까?​ 1) 가격 경쟁력 우선 구조중국 내 원단 시장은 워낙 경쟁이 심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우선입니다.이 때문에 고가의 천연섬유(울, 린넨, 텐셀 등)를 사용한다고.. 2025. 4. 23.
꼼수) 무신사,신성통상 비건레더 논란 정리!! 진짜 비건은 어떻게 구분할까?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최근 패션업계에서 ‘비건레더 & 에코레더’라는 이름으로 판매된 제품이 실제로는 일반 PU원단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또한 공정위원회로부터 제재도 받았구요​ 이와 같은 사례는 단순한 오해가 아닌, 소비자의 신뢰를 저해할 수 있는 중요한 이슈입니다.​이번 글에서는 PU와 비건레더의 차이부터, 왜 이런 마케팅 꼼수가 발생하는지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1.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무신사의 자체 PB브랜드인 '무신사스탠다'드 중 일부가 ‘비건레더’ 제품을 판매​하지만 실제로는 식물성 원료가 아닌 일반 PU 합성피혁이 사용됨.​인증 마크나 설명 없이 단순히 ‘비건’이라는 문구만 사용해 소비자 혼란 초래 ​신성통상의 'TOPTEN' 또한 마찬가지!​​2. PU가.. 2025. 4. 23.
꼼수) 겉은 똑같지만 속은 다르다? 충전재 바꿔치기 꼼수 A to Z 안녕하세요, 현소엠입니다.요즘 패딩, 발열의류, 경량 베스트까지 기능성 충전재를 쓰는 브랜드들이 많죠? 하지만 여러분, 실제 소비자가 입게 되는 옷 속 충전재가 계약 당시의 스펙과 다르다면? 생산 현장에서는 내부 충전재를 슬쩍 바꿔치는, 소위 말하는 "충전재 바꿔치기 꼼수"가 종종 발생합니다. 오늘은 이 꼼수가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고, 어떤 문제를 일으키며,생산자로서 어떻게 막아야 하는지를 알려드릴게요. - 선 목차 - 1. 내부 충전재 바꿔치기, 이렇게 일어납니다2. 소비자에게는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3. 생산자/MD가 현장에서 체크해야 할 포인트4. 현장에서의 실제 예방 팁1. 내부 충전재 바꿔치기, 이렇게 일어납니다 의류 충전재는 크게 ①기능성패딩 / ②웰론(솜) / ③다운 3가지 이며,각 어떤 충.. 2025. 4. 18.
728x90
반응형